심리검사

내담자에게 더욱 도움을
드릴 수 있도록 다양한 심리검사가
준비되어 있습니다.

MBTI(성격유형검사)

MBTI(성격유형검사)는 “Myers-Briggs Type Indicator”의 약자로서 C.G.Jung의 심리유형론을 근거로 하여 Katharine Cook Briggs와 Isabel Briggs Myers가 보다 쉽고 일상생활에 유용하게 활용할 수 있도록 고안한 자기보고식 성격유형 지표를 말합니다. 융의 심리유형론은 인간행동이 그 다양성으로 인해 종잡을 수 없는 것 같아 보여도 사실은 아주 질서 정연하고 일관된 경향이 있다는 데서 출발하였습니다. 그리고 인간행동의 다양성은 개인이 인식(Perception)하고 판단(Judgement)하는 특징이 다르기 때문이라고 보았습니다. MBTI(성격유형검사)는 인식과 판단에 대한 융의 심리적 기능이론 그리고 인식하고 판단의 향방을 결정짓는 융의 태도 이론을 바탕으로 하여 제작되었습니다. 또한 개인이 쉽게 응답할 수 있는 자기보고(Self Report) 문항을 통해 인식하고 판단할 때의 각자 선호하는 경향을 찾고, 이러한 선호경향들이 하나하나 또는 여러 개가 합쳐져서 인간의 행동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를 파악하여 실생활에 응용할 수 있도록 제작된 심리검사입니다.

선호하는 경향이란, 사람들에게는 일정한 행동을 하게끔 하는 심리적 선호도가 존재하는 것을 찾는 것입니다. 다시 말하자면, 글씨를 쓸 때 오른손잡이는 오른손으로 글을 잘 쓰고, 각자가 좋아하는 과일이 다른 것 처럼 각자의 선호하는 성향을 말합니다. 선호 성향으로는 신체적 선호와 심리적 선호가 있으며 이 또한 각자의 선호하는 성향에 따라 구분합니다. 이러한 신체적, 심리적 패턴들을 체계적으로 검사하여 16가지 유형으로 나눈 것을 MBTI검사라고 합니다.

  • ISTJ

    세상의 소금형

  • ISFJ

    임금뒷편의 권력형

  • INFJ

    예언자형

  • INTJ

    과학자형

  • ISTP

    백과사전형

  • ISFP

    성인군자형

  • INFP

    잔다르크형

  • INTJ

    아이디어 뱅크형

  • ESTP

    수완좋은 활동가형

  • ESFP

    사교적인 유형

  • ENFP

    스파크형

  • ENTP

    발명가형

  • ESTJ

    사업가형

  • ESFJ

    친선도모형

  • ENFJ

    언변능숙형

  • ENTJ

    지도자형

외향 (Extraversion)
에너지 방향
내향 (Introversion)
감각 (Sension)
인식기능
직관 (iNtuition)
사고 (Thinking)
 
감정 (Feeling)
판단 (Judging)
생활양식
인식 (Perceiving)
선호지표 설명 대표적 표현
외향형
(Extraversion)
폭넓은 대인 관계를 유지하며 사교적이며 정열적이고 활동적이다. 자기 외부에 주의집중
외부활동과 적극성
정열적, 활동적
말로 표현
경험한 다음에 이해
쉽게 알려짐
내향형
(Introversion)
깊이있는 대인관계를 유지하며 조용하고 신중하며 이해한 다음에 경험한다. 자기 내부에 주의집중
내부활동과 집중력
조용하고 신중
글로 표현
이해한 다음에 경험
서서히 알려짐
감각형
(Sensing)
오감에 의존하여 실제의 경험을 중시하며 지금, 현재에 초점을 맞추고 철저히 일처리한다. 지금, 현재에 초점
실제의 경험
정확, 철저한 일처리
사실적 사건 묘사
나무를 보려는 경향
가꾸고 추수함
직관형
(iNtuition)
육감 내지 영감에 의존하며 미래지향적이고 가능성과 의미를 추구하며 신속, 비약적으로 일처리한다. 미래 가능성에 초점
아이디어
신속, 비약적인 일처리
비유적, 암시적 묘사
숲을 보려는 경향
씨 뿌림
사고형
(Thinking)
진실과 사실에 주관심을 갖고 논리적이고 분석적이며 객관적으로 판단한다. 진실, 사실에 주관심
원리와 원칙
논거, 분석적
맞다, 틀리다
규범, 기준중시
지적논평
감정형
(Feeling)
사람과 관계에 주관심을 갖고 상황적이며 정상을 참작한 설명을 한다. 사람, 관계에 주관심
의미와 영향
상황적, 포괄적
좋다, 나쁘다
나에게 주는 의미 중시
우호적 협조
판단형
(Judging)
분명한 목적과 방향이 있으며 기한을 엄수하고 철저히 사전 계획하고 체계적이다. 정리 정돈과 계획
의지적 추진
신속한 결론
통제와 조정
분명한 목적의식과 방향감각
뚜렷한 기준과 자기의사
인식형
(Perceiving)
목적과 방향은 변화 가능하고 상황에 따라 일정이 달라지며 자율적이고 융통성이 있다. 상황에 맞추는 개방성
이해로 수용
유유자적한 과정
융통과 적응
목적과 방향은 변화할 수 있다는 개방성
재량에 따라 처리될 수 있는 포용성

TCI 기질 검사

Temperament and Character Inventory(TCI, 기질 검사)는 유전적으로 타고난 “기질 Temperament”을 이해하고 기질을 바탕으로 환경과의 상호작용 속에서 발달한 “성격 Character”을 파악하여 개인의 고유한 “인성 Personality”을 종합적으로 판단하는 심리검사입니다. TCI 기질검사는 두 개의 큰 구조로서 기질과 성격을 구분하고 있습니다. 다른 인성검사와는 달리, 한 개인의 기질과 성격의 분리로 인해서, 인성 발달에 미친 유전적 영향과 환경적 영향을 구분하여 인성 발달과정을 이해하는 것이 가능해 졌습니다. 기질과 성격을 종합적으로 평가하는 TCI를 통해서, 우리는 한 개인의 사고방식, 감정양식, 행동패턴, 대인관계 양상, 선호경향 등을 폭 넓고 정교하게 이해하게 되었습니다.

TCI의 3가지 기질차원

  • 자극추구(Novelty Seeking, NS)
  • 위협 회피(Harm Avoidance, HA)
  • 사회적 민감성(Reward Dependence, RD)

TCI의 3가지 성격차원

  • 자율성(Self-Directedness, SD)
  • 연대감(Cooperativeness, C)
  • 자기초월(Self-Transcendence, ST)

MMPI(다면적 인성검사)

다면적 인성검사(Minnesota Multiphase Personality Inventory : MMPI-2)는 각 질문에 대답한 내용을 표준화점수로 확산하여 프로파일에 따라 내담자가 주관적으로 보고하는 현재의 정신 병리적 상태나 개인의 일반적인 성격 성향을 파악하는 검사입니다.

진로 적성검사

1. Holland 진로탐색검사

Holland 진로탐색검사는 심리학자인 John L. Holland의 6개의 직업적 성격유형 [실재형(R), 탐구형(I), 예술형(A), 사회형(S), 기업형(E), 관습형(C)]을 측정하고, 측정된 진로유형(흥미유형)에 따라 전공학과와 직업을 찾아볼 수 있도록 돕는 검사입니다.

2. STRONG 직업흥미검사

미국의 SII(Strong Interest Inventory)의 한국 버전으로 김정택(서강대학교 교수), 김명준(어세스타 대표), 심혜숙(부산대학교 교수)등이 공동으로 연구했으며 주로 고등학생 이상 성인에게 적용 가능하도록 제작한 검사입니다. STRONG 직업흥미검사는 세분화된 직업흥미탐색을 통한 개인의 흥미영역 세분화에 초점을 두고 더욱 구체화된 직업탐색 및 진학계획, 경력개발 등에 효과적으로 사용하도록 만들어졌고, 세 가지 척도 GOT(General Occupational Themaes), BIS(Basic Interest Scales), PSS(Personal Style Scales)로 구성되었으며, 미국의 초신 개정판(1994판) STRONG검사의 전문한 (317개 문항)을 채택하여 미국으로부터 제공받은 Scoring Key를 기반으로 채점하였으며, 한국의 8,865명의 자료에 대한 통계적 검증을 거쳐 한국 규준을 체계화하였습니다.

STRONG 직업흥미검사의 세 가지 척도 : 1) 일반직업분류(GOT : General Occupational Theme)

GOT의 하위척도이며 실제로 상관이 높은 문항을 집단화시켜 완성한 특정 활동과 주제에 대한 25개의 세부척도로 GOT를 특정한 흥미들로 세분화합니다. 따라서 모든 BIS는 그것과 관련된 GOT하에 있는 프로파일의 집단으로 배열되어 각각의 BIS는 내용의 특정한 분야를 다루게 됩니다. 따라서 GOT는 내용 및 범위에서 일반적으로 더 넓고 다양한 반면 BIS는 특정한 흥미분야에 더 집중되어 있습니다. BIS는 가능성 있는 직업분야를 확인하는 데 유용하고 또한 생활의 균형문제를 다루는 데도 쓰일 수 있습니다.

STRONG 직업흥미검사의 세 가지 척도 : 2) 기본흥미척도(BIS : Basis Interest Scales)

GOT의 하위척도이며 실제로 상관이 높은 문항을 집단화시켜 완성한 특정 활동과 주제에 대한 25개의 세부척도로 GOT를 특정한 흥미들로 세분화합니다. 따라서 모든 BIS는 그것과 관련된 GOT하에 있는 프로파일의 집단으로 배열되어 각각의 BIS는 내용의 특정한 분야를 다루게 됩니다. 따라서 GOT는 내용 및 범위에서 일반적으로 더 넓고 다양한 반면 BIS는 특정한 흥미분야에 더 집중되어 있습니다. BIS는 가능성 있는 직업분야를 확인하는 데 유용하고 또한 생활의 균형문제를 다루는 데도 쓰일 수 있습니다.

STRONG 직업흥미검사의 세 가지 척도 : 3) 개인특성척도(PSS : Personal Style Scales)

일상생활과 일의 세계에 관련된 광범위한 특성에 대해 개인이 선호하고 편안하게 느끼는 것을 측정하는 PSS(개인특성척도)는 1만 8,951명의 남녀 샘플에 의해 개발된 네 개의 척도입니다. PSS는 개인이 일반적으로 어떻게 학습하고, 일하고, 놀고 생활하는지에 대해 탐색하게 함으로써 어떤 특정환경(교육 또는 작업환경 등의)과 자신과의 관계에 대해 평가할 수 있는 틀을 제공합니다. 결과적으로 PSS점수는 GOT, BIS의 결과로 측정된 개인의 직업흥미에 대해 상당부분 보완, 설명해줄 수 있는 기능을 갖습니다.

STRONG 직업흥미검사의 활용
  • 자기 탐색을 위한 자극 및 삶의 문제 탐색
  • 내담자의 진로 및 진학지도를 위한 진로상담
  • 내담자의 취업 및 진학지도를 위한 진로상담
  • 내담자의 장래 직업선택을 위한 프로그램 운영
  • 내담자의 흥미 패턴과 어울리는 여가활동 권유 또는 제공

HTP(집-나무-사람) 검사

HTP(House Tree Person)그림 검사는 집, 사람, 나무를 그린 그림을 통해 심리를 알아보는 심리검사입니다. 집과 사람, 나무는 주변에서 흔히 접할 수 있는 우리들과 쉽게 교감을 나눌 수 있는 대상들이며 이런 사물을 어떻게 표현하고 어떻게 반응하며 그림을 완성시키는지를 확인하여 사람의 내면세계가 외면세계를 어떻게 이해하는 지를 확인해 보는 검사도구입니다.

부모 양육 태도 검사(PAT)

부모양육태도(PAT)검사는 8개의 하위척도를 나타내주고 있습니다. 지지표현, 합리적설명, 성취압력, 간섭, 처벌, 감독, 과잉기대, 비일관성 등을 사용하여 부모님들의 양육태도를 광범위하고 일관적으로 파악해 주는 심리검사 도구입니다. 대상 아동/청소년의 부모님들을 모두 검사하여 양육에 대한 구체적인 비교, 상담이 가능합니다.

K-CBCL(한국판 아동 청소년 행동 평가 척도) 검사

이 검사는 Achenbach(1991)가 제작한 미국판 CBCL(Child Behavior Checklist)을 번역하여 표준화한 것으로 만 4~17세 아동 및 청소년을 대상으로 그 부모가 아동의 사회적 적응 및 문제 행동을 설문형식으로 평가하는 도구입니다.

1. 검사의 특징

  • K-CBCL은 다수의 임상집단의 자료를 요인분석하며 경험적 방법으로 구성된 임상척도를 사용하여 행동평가 자료를 요약토록 되어 있습니다.
  • K-CBCL은 광범위한 정상집단의 자료를 체계적으로 수집, 분석하여 이를 기초로 규준을 작성함으로서 이를 실제적으로 적용하여 아동을 평가하는데 중요한 지침을 마련해주고 있습니다.
  • 행동문제의 평가와 동시에 사회능력척도를 제작하여 문제행동증후군척도와 유사한 과정을 통해 표준화 기준을 마련함으로서 정서행동 문제뿐만 아니라 아동/청소년의 적응능력의 평가도 병행하였습니다.
  • K-CBCL은 다양한 상황, 장면에서 경험에 기초한 다축적평가를 전제로 하고 있습니다. 그래서 부모에 의한 평가와 동시에 교사용 평가(TRF)와 자기보고식 평가(YSR) 자료도 사용할 것을 권하고 있습니다.

2. 검사의 구성

  • 대상 아동의 연력 : 4세 ~ 17세 남녀 아동
  • 검사 시간 : 평균 15 ~ 20분
  • 평가자 : 부모, 아동과 거주하는 성인
  • 평가방법 : 개별 또는 집단

3. K-CBCL 행동평가척도의 구성

  • 사회성척도(Social)
  • 학업수행 척도(School)
  • 우울/불안 척도(Anxious/Depressed)
  • 사회적 미성숙 척도(Social Problems)
  • 사고의 문제 척도(Thought Problems)
  • 주의집중문제 척도(Attention Problems)
  • 비행척도(Delinquent Behavior)
  • 공격성 척도(Aggressive Behavior)
  • 성문제척도(Sex Problems)
  • 정서불안정 척도(Emotional Lability)
  • 내재화 문제 척도(Internalizing Problems)
  • 외현화 문제 척도(Externalizing Problems)
  • 총 문제행동 척도(Total Behavior Problems)

로샤 검사

로샤 검사는 일련의 막연하고 무의미한 잉크반점에 의해 한 사람에게서 일어나는 지각 반응을 분석하여 그 개인의 인격 성향을 추론하는 정신상태 진단 검사입니다. 로샤 검사에서 사용하는 것은 데칼코마니 양식에 의한 대칭형의 잉크 얼룩으로 이루어진 무채색 카드(흑백카드) 5장, 부분적인 유채색 카드 2장, 전체적인 유채색 카드 3장 등 총 10장의 카드입니다.

웩슬러 지능감시

웩슬러지능검사(K-ABC : 2세~7세 / K-WISC : 7세 ~ 고2 / K-WAIS : 고2 ~ 성인)

지능은 ‘개체가 합목적으로 행동하며, 합리적으로 사고하고 효율적으로 환경을 처리해 나가는 총합적이고 총체적인 능력’입니다.
개별적인 지능 검사를 통해서 지능 지수(IQ) 이외에도 다양한 인지 능력들이 어떻게 발휘되고 있는지를 체계적으로 알아볼 수 있습니다. 즉, 일반적인 지식, 주의집중, 사회적인 이해 및 상황 판단 능력, 어휘력, 추상적 개념 형성 능력, 사고력, 지각적 체제화 능력, 시지각 협응능력 등과 같은 다양한 인지 능력들을 체계적으로 평가하고, 어떤 능력이 잘 발달되어 있고, 어떤 능력이 더 개발되고 보완할 여지가 있는지 등에 대한 전체적인 윤곽을 알아 볼 수 있습니다.

지능 = 지적요소 + 성격적 요소 + 정서 + 사회성 + 운동 + 감각

문장완성검사(SCT)

문장완성검사(Sentence Completion Test : SCT)는 아동 및 성인을 대상으로 실시하는 검사로 문장의 앞부분을 제시하고 순간적으로 떠오르는 생각으로 뒷부분을 이어 완성시키게 함으로 자아개념과 대인관계 및 환경에 대한 지각을 나타내는 투시검사입니다.

BGT 심리검사

Bender Gestalt Test의 약자이며 원 명칭은 Bender Visual Motor Test(시지각 운동 테스트)입니다. 이것은 9개의 간단한 기하학적 도형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이 검사는 Lauretta Bender에 의해 1938년 미국예방정신의학협회의 연구지 제3호에 발표된 “시각-운동 형태 검사 및 그 임상적 활용”이라는 논문을 발표하면서 개발되었습니다.

Bender는 지각과 그 소산(도형묘사)의 전체적 과정은 지각-운동 행동의 생리적 원인에 따라 결정되는 것이지만 개인의 성향이나 성숙수준 그리고 기질적이거나 기능적인 여러 병적 상태에 따라 크게 왜곡될 수 있다고 지적하면서 이 검사의 임상적 적용범위로서 기질적 뇌장애, 정신분열증, 신경증, 조울증 및 정신박약 등을 들고 있습니다.

다양한 채점과 해석 방식이 있는데, 현재는 Pascal & Suttell(성인:객관적 방법), Hutt(투사적 해석), Kopitz(아동용)의 방식이 많이 이용됩니다. 또한 이 검사는 완충적인 역할을 하는 검사로 유용하여 심리검사에서 라포형성을 위한 검사로서의 기능을 할 수 있으며, 피검자에게 위협을 주지 않고 검사에 대한 동기를 유발할 수 있고, 뇌손상 유무를 감별하는 데 많이 이용됩니다.(인지, 정서, 성격 같은 피검자의 심리적 특성들에 대해서 분석하는 검사입니다.)

스트레스 검사(불안 우울 검사)

Beck 불안 우울 척도, Hamiton 불안척도, 대인불안 테스트, 번즈 박사의 불안검사, 불안민감성척도, 사회적 회피 및 불안척도, 상태불안척도, 소아상태불안척도, 소아특성불안척도, 시험불안 자가진단표, 아동불안검사-rcmas-hyunsil, 이별불안 장애 진단기준, 정서적 불안척도, 특성불안척도, BDI(베크 우울검사), 산후 우울검사 등